장수의 비밀, 성실성이라는 평범한 덕목
오래 사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성실한 삶의 힘이다
장수의 조건을 말할 때 우리는 종종 유전자나 환경 같은 생물학적 요소를 먼저 떠올린다. 그러나 긴 세월을 건강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중심에는 하나의 공통된 인격적 특성이 있다. 그것은 바로 성실성이다. 이 단순 하지만 묵직한 덕목은 장수를 가능케 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근본이다.
조선의 선비들은 이를 삶으로 증명했다. 퇴계 이황은 매일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 글을 읽고, 차를 달이며 마음을 다스렸다. 그는 ‘활인심방(活人心方)’이라 하여, 마음을 바르게 가지는 것이 곧 건강의 시작임을 설파했다. 송시열은 자기 몸을 실험대 삼아 ‘요로법(尿療法)’을 실천하며 자연에 기대지 않는 건강법을 추구했다. 이들의 방식이 현대 기준에 부합하든 그렇지 않든, 그 바탕에는 자기 절제와 꾸준함, 곧 성실한 삶의 자세가 있었다.
현대의 과학도 이 고전의 통찰을 뒷받침한다. 미국 스탠퍼드대의 루이스 터먼 박사는 1921년부터 80년 넘게 1,500명 이상에 대한 장수를 추적 관찰했다. 그들은 다양한 계층과 직업, 삶의 양식을 가진 이들이었다. 연구 결과는 명확했다. 장수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준 요인은 부도, 명예도, 심지어 결혼 여부도 아니었다. 바로 성실성(conscientiousness)이었다.
...... 기사 더 보기: https://newsly.co.kr/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