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행사         자료실

(기사) 치매노인 치료·간병비 96% 가족이 부담 (2006-09-05)

3,000,000,000,000원’(3조원) 



한림대 의대 서국희 교수 연구팀이 4일 추산한 우리나라의 한해 치매 관련 비용이다. 이중 96%는 시설에 수용되지 않고 집에 거주하는 치매 노인들의 치료비·간병비에 해당하는 ‘지역사회비용’. 다시 말해 가족들이 져야 한다. 



가족 중 한 명이라도 아프면 가족 전체가 아프게 된다. 기억 속에서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치매 노인을 모시는 가족들에게 그 아픔은 2배로 다가온다. 



한림의대 연구팀에 따르면 지역사회 비용 중 가족의 간병으로 인한 기회비용은 전체의 55%인 1조6천억원에 달한다. 1년간 치매환자 1인당 소요되는 비용은 전일 간병의 경우 5천3백만원, 장기 요양이 필요한 경우에는 1천6백만원으로 조사됐다. 



치매환자 가족에게 드리워진 경제적 부담의 그림자를 여실히 보여준다. 치매환자를 둔 가정은 경제적인 고통 외에 물리적 고통도 겪는다. 가족 중 누군가는 늘 치매 노인 곁에 붙어서 수발을 들어야 한다. 휴가는커녕 휴일에도 마음놓고 집을 비울 수 없다. 환자 못지않은 고통을 겪는다. 



지난 7월18일~8월25일까지 치매 노인을 돌봐준 서울 자양동 노인전문보호소 ‘광진노인보호센터’의 프로그램은 치매 가족들로부터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치매 노인을 수발하느라 지친 가족들이 걱정 없이 여름 휴가를 다녀와 그동안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게 됐기 때문이다. 



한국치매가족협회에 따르면 전국의 치매 환자는 36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이중 요양시설이나 주간보호시설, 단기보호시설 등지에서 서비스를 받는 치매 노인은 6만2천45명에 그치고 있다. 한국치매가족협회 이성희 회장은 “치매 환자 다음으로, 아니 어쩌면 치매 환자 이상으로 고통받는 이들이 바로 치매 가족”이라고 말했다. 치매 질환의 특성상 주위 사람들의 각별한 관심과 함께 경제적·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회장이 협회를 꾸리게 된 이유도 치매 가족들의 교육과 가족간의 정보공유가 절실하다고 판단해서였다. 



치매 가족들은 치매 노인들을 위한 요양시설의 확충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고령화시대로 가속화되고 있음에도 불구, 이에 대비하는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회장은 “시설 30%, 재가서비스 70%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현재 서울시의 지원을 받고 있는 치매 노인 관련 시설은 28곳. 전문요양원과 복지관, 병원을 합친 숫자다. 여기에는 시립송파노인전문요양원 등과 같이 기초생활보호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료운영 시설도 포함되어 있다. 시립동부노인요양센터는 서울시가 사회복지재단에 위탁해 운영되는 실비 보조시설로 300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다. 이밖에 구청별로 치매 노인을 위한 주간보호소 등을 설치하는 추세다. 



시립동부노인요양센터 사회복지사 정희선씨는 “이른 저녁 잠이 들어 해 뜨기 전에 깨는 어르신들에게는 낮 시간이 더 견디기 힘들다”면서 “혼자 외롭게 있는 것보다 비슷한 증세에 있는 분들끼리 함께 지내며 정서적인 지지를 확대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김유진기자〉 
목록